With Jenny 의 철학과 종교, 명상과 심리

아리스토텔레스 철학 - "중용" 본문

철학과 종교 & 위인

아리스토텔레스 철학 - "중용"

Jenny's To Do. 2025. 4. 24. 12:52
728x90

🏛️ 철학자 아리스토텔레스의 질문 - '행복이란 무엇인가'

철학의 거장 아리스토텔레스는 ‘행복’을 삶의 궁극적인 목적이라 보았습니다. 그는 그 행복이 단순한 감정이 아니라, 반복된 좋은 습관과 실천을 통해 이뤄지는 내면의 상태라고 강조하기도 했습니다.

 

 

"행복은 반복된 행동에서 비롯된다. 그러므로 탁월함은 행동이 아니라 습관이다."
– 아리스토텔레스

 

👶 아리스토텔레스의 성장 배경과 사상의 시작

기원전 384년, 아리스토텔레스는 그리스의 스타기라에서 태어났습니다. 아버지는 마케도니아 왕가의 주치의였으며, 덕분에 그는 어릴 적부터 자연과 인간의 신체에 대한 관심을 키울 수 있었습니다. 17세에는 플라톤의 아카데미에 입학하여 스승 플라톤에게 철학을 배웠지만, 점차 이데아론에 비판적 입장을 취하며 자신만의 현실 철학을 만들어갔죠.

 

아리스토텔레스 철학 - "중용"

🧠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의 중심: 실천, 중용, 목적론

아리스토텔레스는 인간의 삶이란 결국 **‘좋은 삶’**을 추구하는 과정이며, 그 핵심은 **행복(에우다이모니아:Eudaimonia)**에 있다고 보았습니다. 그러나 행복은 단순한 감정이나 운이 아니라, 지속적인 덕의 실천에서 비롯된다고 주장합니다.

그는 모든 덕목에는 **중용(中庸)**이 있다고 말하고. 용기란 무모함과 비겁함 사이에 있는 균형이고, 절제란 방탕과 금욕 사이에 있는 상태라고 말합니다.

또한 그는 목적론적 세계관을 통해 세상의 모든 것은 그 나름의 목적을 가지고 있다고 보았으며. 인간에게 있어 그 목적은 이성에 따라 사는 것, 곧 사유하고 실천하는 존재로 살아가는 것이라 말합니다.

 

🧩 영향을 준 인물들

  • 플라톤: 사상적 뿌리를 제공한 스승이지만, 이데아론에 의문을 던지며 독자 노선을 걷게 함.(◆ 이데아론은 플라톤이 처음 주장한 형이상학 이론을 말함.)
  • 소크라테스: 윤리적 질문과 ‘어떻게 살 것인가’를 던지는 방식에서 깊은 영향을 받음.
  • 히포크라테스적 자연주의: 의사였던 아버지의 영향으로 생물학적 관찰과 경험 중시

 

🌍 오늘날 우리에게 주는 메시지

아리스토텔레스는 말합니다.


"우리가 반복적으로 하는 것이 곧 우리 자신이다."


이는 현대의 자기계발, 습관 형성, 긍정 심리학 등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의 사상은 기업의 리더십 교육, 학교의 인성교육, 심지어 AI 윤리 문제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는 우리에게 단순히 '좋은 생각을 하라'가 아닌, ‘좋은 습관을 실천하라’는 구체적 메시지를 남기고 있는 것입니다. 작은 행동의 반복이 결국 삶의 방향을 결정한다는 그의 철학은 오늘날 바쁜 현대인에게 큰 통찰을 주기도 합니다.

 

🧭 마무리하며: 아리스토텔레스가 우리에게 남긴 길잡이

아리스토텔레스는 2천 년이 훌쩍 넘는 시간 동안 인간의 삶, 윤리, 사회, 자연에 대한 질문에 답해왔습니다. 그는 먼 고대에 살았지만, 그의 사유는 지금 이 순간에도 유효하고, 오히려 불확실한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더 큰 울림을 줍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말합니다.


"모든 인간은 본성적으로 앎을 원한다."


이 문장은 우리가 끊임없이 배우고 성장하며 살아가야 할 이유를 간결하게 설명해줍니다.

지금 우리가 꾸준히 해 나가는 작은 실천들, 하루하루의 선택들이 바로 우리가 꿈꾸는 ‘행복’에 가까워지는 여정임을 잊지 마세요.
탁월함은 특별한 순간이 아니라, 매일의 평범한 행동 속에 숨어 있다는 것, 그것이 아리스토텔레스가 우리에게 남긴 가장 큰 선물일지도 모릅니다.

오늘도 한 걸음, 더 나은 나를 향해 나아가보는 건 어떨까요?

 

📚 추천 도서

  • 《니코마코스 윤리학》 – 아리스토텔레스
  • 《습관의 힘》 – 찰스 두히그 (현대적 연관 독서)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