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th Jenny 의 철학과 종교, 명상과 심리

[동양철학] : 순자(荀子) – 인간의 본성과 문명의 힘 본문

철학과 종교 & 위인

[동양철학] : 순자(荀子) – 인간의 본성과 문명의 힘

Jenny's To Do. 2025. 4. 25. 10:44
728x90

🐉 순자 – 인간의 본성과 문명의 힘을 말하다

🧘 철학자 순자(荀子)는 유교 사상 안에서 독보적인 철학을 펼친 인물이죠.
"성악설"로 가장 유명하지만, 그의 철학은 사실 인간 본성과 사회 질서, 교육, 법, 예의 중요성까지 포괄하고 있습니다.

“인간의 본성은 악하다. 선한 것은 인위적인 노력으로 얻어지는 것이다.”
— 순자, 『순자(荀子)』 「성악편」

 

많은 사람들에게 다소 낯설기도 하고 혹은 도전적으로 들릴수도 있는 이 말은,
오히려 인간과 사회를 더욱 깊이 이해하고자하는 순자의 철학을 잘 보여주는 핵심입니다.

 

👶 순자의 성장 배경과 철학의 출발

순자(기원전 약 313~238년)는 전국시대 말기에 활동한 유가(儒家) 철학자입니다..

(♠ 유가 (儒家) 란, 주로 중국 고대 제자백가 시대를 대표하는 사상으로, 공자(孔子)를 중심으로 한 사상과 가르침을 의미 함.)
노년에는 초나라의 ‘란링’이라는 지방에서 벼슬했기 때문에 ‘순란링(荀卿)’이라는 이름으로도 불립니다.

공자와 맹자의 인(仁) 중심 사상과는 달리, 순자는 혼란한 시대 속에서
어떻게 인간을 교화하고 질서를 세울 수 있을지를 치열하게 고민했던 철학가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그의 철학은 보다 현실적이고 제도 중심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순자의 일화 : 이사(李斯)와 한비자 (韓非子) 를 가르친 스승

순자는 당대 최고의 학자 중 한 명이었습니다.
그의 제자들 중에는 법가(法家)의 대표 인물인 한비자(韓非子)와 이사(李斯)가 있었는데요,
두 사람 모두 진나라 통일에 핵심 역할을 했던 인물들이기도 합니다.

이 일화로 보아 순자의 사상은 단순한 이론을 넘어서
정치, 법률, 제도의 영역까지 실제로 영향을 끼쳤음을 알 수 있는 일화일 것이다.

 

🔎 순자 철학의 핵심 : 성악설, 예(禮), 교화

  •  성악설(性惡說)
    인간은 태어날 때 욕망과 이기심에 따라 행동하며,
    그 상태로 두면 질서 없는 혼란에 빠진다고 봄.
  •  예(禮)의 중요성
    순자는 “예는 인위적이지만, 인간을 인간답게 만드는 힘”이라 주장하며
    이 예(禮)가 바로 문명과 사회의 기반이라고 봄.
  • 교육과 교화
    인간의 본성은 바꿀 수 없으나, 올바른 교육과 습관을 통해
    선한 방향으로 행동하게 만들 수는 있다고 믿음.
  •  현실주의적 유학
    이상보다 현실을, 본성보다 제도와 질서를 더 중시한 유학자였으며
    그러기에 법가, 실용주의 정치철학에 다리 역할을 하기도 함.

 

👥 관련 인물과 철학적 연결

  • 공자: 인(仁)과 도덕 중심의 유가 사상 창시자
  • 맹자: 성선설을 주장하며 순자와 철학적 대립
  • 한비자: 순자의 제자로서 법가 사상을 발전시킴
  • 노자·장자: 자연스러움을 중시한 도가와는 철저히 대비

 

🌏 오늘날 우리에게 주는 메시지

순자는 지금의 우리에게 이렇게 묻습니다:

“당신은 타고난 본성에만 의지하며 살고 있는가?
아니면 스스로를 다스리고 사회의 질서 속에서 인간다움을 연마하고 있는가?”

 

그는 인간이 완벽하지 않음을 전제로 하였고
더 나은 사회와 삶을 위해 우리가 얼마나 노력하고 있는지를 생각하게 해주는것 같습니다.

 

❓ 오늘의 사색

  • 나는 내 안의 본성을 어떻게 다스리는가?
  • 나의 행동은 타고난 것인가, 아니면 학습한 것인가?
  • ‘인위적인 노력’ 없이 나는 누구일까?

🧭 마무리

순자는 우리에게 말합니다.
“인간은 불완전한 존재다.

하지만 바로 그 이유 때문에, 우리는 스스로를 가다듬고 나아갈 수 있는 것이다.”

순자의 철학은 인간의 본성을 부정하는 것이 아니라,
그 본성 위에 사회적 질서와 예의를 세우려는 의지의 철학임을 알 수 있습니다.

 

 

[동양철학] 공자(孔子) – 인간의 도덕적 삶을 이끌다

“자기를 알면 남을 알게 되고, 남을 알면 세상을 알게 된다.”— 공자공자(孔子)를 모르시는 분이 있을까요? 공자의 명언 중 하나라도 들어본 적이 있으실 겁니다.너무 많은 명언과 격언, 가르

htmind.tistory.com

 

▣ 추천 도서

  • 『순자』 – 성악설을 비롯한 그의 사상이 집약된 고전
  • 『중국고대사상의 이해』 – 유가와 법가의 흐름을 함께 조망
  • 『순자 철학 강의』 – 현대적 시선으로 재조명한 해설서
728x90
반응형